양양군 남애리-2023 유실 침적 폐어구 수거 프로젝트

양양군 남애리-2023 유실 침적 폐어구 수거 프로젝트

2023년 10월 14일과 15일 양일간 한국어촌어항공단의 펀딩으로 13명의 테크니컬 다이버가 강원도 양양군 남애리 앞바다에서 유실 침적 폐어구 수거 프로젝트를 진행 하였다. 딥브레스 양양 다이브 리조트가 다이빙 지원을 해주었다.

프로젝트의 핵심 목표는 수중스쿠터 DPV(Diver Propulsion Vehicle)를 활용하여 다이버들이 유실된 폐어구를 찾아내는 것이었다. 이렇게 수행된 미션은 보다 넓은 해양 지역에서 버려진 폐어구를 효과적으로 수거하고 목적성을 높여 수거활동을 더욱 흥미롭게 만들어 주었다.

참여자: 김유라, 최경태, 김혜진, 신동술, 정현종, 곽태진, 김현만, 박신재, 김신환, 강경빈, 양기영, 조준현, 정희남

수거된 폐어구들을 고려하여, 참가자들은 5~6명으로 이루어진 2개의 팀으로 나누어져 엉터리, 아름드리, 신도시, 그리고 용궁 포인트에서 총 6회 다이빙 수거활동을 진행하였다.

수거활동 포인트 위치, Google map

이 노력의 결과로, 총 54개의 폐어구가 다이빙을 통해 수거되었으며, 이들의 총 무게는 126kg에 달했다.
남애 앞바다의 다이빙 포인트는 정기적으로 수중정화활동을 진행하고 있어서, 폐어구가 뭉치는 곳이 많지 않았다.
한 두개의 폐어구들이 산발적으로 유실되어 있는 상황이였다. 또한 양양군의 경우 폐통발 어업이 활발하게 이루워지고 있는 지역이여서 수거된 폐어구의 90프로 이상이 폐통발이였다. 폐통발에서 유령어업 특징은 폐어구안에서 죽은 해양생물이 또다른 해양생물을 유인하는 미끼가 되어 지속적으로 유령어업이 발생하게 된다.

각 활동 포인트별 수거무게 및 통발 갯수

프로젝트 완료 후에는 회고회의를 진행하였으며, 회의를 통하여 도출된 개선방안들을 적용하여 다음 프로젝트에는 더 나은 진행과 좋은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참여해 주신 모든 다이버들에게 감사를 전한다.

해양수산자원부 장관유공 표창

해양수산자원부 장관유공 표창

 강경빈 ㅣ 해양탐사그룹 팀부스터

해양탐사그룹 팀부스터의 곽태진 대표는 제23회 국제연안정화의 기념식에서 해양폐기물 저감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팀부스터 대표로 해양수산부 장관 표창을 수상하였다

팀부스터는 2020년 수중 환경 문제에 관심있는 8명의 스쿠버 다이버가 모여 설립한 테크니컬 다이버의 모임으로, 바닷속 변화 및 상태를 기록하고 데이터화하여 공유하고 있다. 2021년 부터는 해양연구소 및 기업과 협업하여 매년 20여명의 시민 다이버들을 초대해 해양환경 보존 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한국어촌어항공단과 협력하여 유실 침전 폐어구 수거활동을 시작하였다

또한 수중 활동으로만 그치지 않고 그동안 수집한 데이터와 사진으로 일반 시민들에게도 해양환경 변화를 알릴수 있는 전시회를 개최하고, 관련 기관의 연구자들과 협력하여 논문 및 책을 출간하고 있다.

팀부스터 맴버: 곽태진, 김혜진, 김현만, 김유라, 정희남, 강견빈, 양기영, 정현종

한국어촌어항공단과 유령어업 예방을 위한 협약 체결

한국어촌어항공단과 유령어업 예방을 위한 협약 체결

 강경빈 ㅣ 해양탐사그룹 팀부스터 정회원

 한국어촌어항공단(이사장 박경철, Fipa) 은 해양탐사그룹 팀부스터와 지원협약을 체결하고 수산업 발전 및 유령어업 예방을 위한 활동을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협약 기관들은 올해 12월까지 강원도 양양과 고성 지역에서 유령어업 예방 및 해양생태계 보호를 위하여 유실·침적 폐어구 수거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수중 폐어구의 경우 해양 부착생물이 얽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수거시 부착생물에 피해가 가지않도록 세심하게 작업하는 것도 중요하다.또한 30m 이상의 수심에서 유실된 폐어구의 경우 깊은 수심 잠수가 가능한 다이버만이 수거가 가능하므로 테크니컬 다이버로 이루어진 팀부스터의 활약도 기대해볼 수 있다.

팀부스터의 곽태진 대표는 유령어업 예방을 위한 해양환경 보전활동은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사안인만큼 시민단체(NGO)와 공공 부문인 공단의 협력으로 긴 여정을 함께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국립해양과학관 특별 경연 – 사진으로 떠나는 수중 탐험

국립해양과학관 특별 경연 – 사진으로 떠나는 수중 탐험

국립해양과학관에서 어린이들 대상으로 수중활동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볼수 있는 좋은 기회를 주셔서 다녀왔습니다.

이번 강연은 어린아이들이 좋아하는 바다탐험대 옥토넛의 캐릭터들의 직업과 연계되었습니다.
저는 수중활동을 하면서 사진을 찍는 대쉬 역할을 맡게 되었죠.

아름다운 바다에 대한 이야기와 그속에 사는 생물들, 그리고 해양오염으로 인하여 피해를 받는 생물 친구들 이야기를 했습니다.

생각해던것보다 어린아이들이 바다생물과 생태계에 관심고 잘 알고 있었습니다. 강연 중간 중간 낸 퀴즈에 대해서 모든 답이 나왔어요.
바다에 관심이 없는 어른들이 알기 어려운 질문들이였는데 말이죠.
수중 피해에 대한 이야기는 아이들에게 좋지 않은 것을 보여주는것 같아, 걱정하였지만 그렇지 않고 문제점들을 잘 알고 있더군요.

아이들의 기운을 받아서 인지, 우리 어른들이 더욱더 바다를 잘 지켜야 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팀부스터도 더욱더 활동을 열심히 해야겠네요.

[KMI] 우리바다 현장연구 지원사업 선정 및 최종발표

[KMI] 우리바다 현장연구 지원사업 선정 및 최종발표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에서 연안·해양 지역발전을 위한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연구를 지원하기 위하여 진행하는 “우리바다 현장 연구 지원 사업”에 팀부스터가 선정되었습니다.
팀부스터에서 고안한 UDS 방법 및 그외 방법을 이용하여 6개월간 “인공어초 단지 주변 해양쓰레기 피해 시민모니터링과 수중 레저활동 접목 방안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2022년 10월 20일에 부산 영도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서 최종 발표를 마쳤습니다.
발표자료와 연구논문을 공유합니다.

요약
2019년 해양수산부가 발표한 ‘해양레저관광 활성화 대책’ 중 하나로, 인공어초 등 아름다운 해저 지역을 다이빙 포인트로 지정하여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유실된 어업장비 등 해양 쓰레기로 인해 어초의 원래 기능이 가끔 상실되며, 유실된 장비는 유령 어업의 악순환이 계속됩니다. 현재 해양 쓰레기 수거 프로젝트는 대부분 지방 정부에서 이뤄지고 있지만, 인공어초 관리에 대한 통합 데이터가 부족합니다. 또한, 해양 쓰레기의 종류와 원인과 같은 과학적 데이터도 부족합니다. 바다의 공간적 및 시간적 특성으로 인해 소수의 인원으로 모든 지역을 조사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다이빙과 같은 해양 레저 스포츠 인기 증가와 함께 환경 보호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사람들은 직접 해양 환경 보호 활동에 참여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국내 해양 레저 스포츠 참여자 대다수는 일회성 경험을 선호하며 외국 다이빙 투어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저 쓰레기 조사(Underwater Debris Survey, UDS)는 해저 바닥에 침전되거나 가라앉은 쓰레기의 밀도를 조사하는 방법으로, 다이빙을 하는 사람들이 인공어초 주변 및 다양한 해양 생태계의 오염 수준을 평가하는 시민 과학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방식은 전문 연구자와 시민 과학자인 다이버들 간의 협업을 통해 인공어초의 효과적인 관리와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전략으로 기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발표자료
 

Please wait while flipbook is loading. For more related info, FAQs and issues please refer to DearFlip WordPress Flipbook Plugin Help documentation.

최종원문

Please wait while flipbook is loading. For more related info, FAQs and issues please refer to DearFlip WordPress Flipbook Plugin Help documentation.